• 컨텐츠로 바로가기

LG

영문ENG
선택됨계열사선택됨재단선택됨관련 사이트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LG헬로비전 HSAD LG CNS D&O LG경영연구원 LG트윈스 LG세이커스 LG공익재단 LG상남언론재단 LG아트센터 LG상남도서관 LG사이언스홀 화담숲 LG연암학원
정도경영 LG커리어스
영문ENG

LG 소개
LG Way CI 역사 주요 계열사 LG사이언스파크
미디어
ESG 소식 보도자료 동영상 소셜미디어
ESG
전략 목표와 성과 활동 정책 보고서
IR
기업지배구조 재무정보 공시정보 IR정보 Contact IR
채용
LG 소개
LG Way CI 역사 주요 계열사 LG사이언스파크
미디어
ESG 소식 보도자료 동영상 소셜미디어
ESG
전략 목표와 성과 활동 정책 보고서
IR
기업지배구조 재무정보 공시정보 IR정보 Contact IR
채용
ESG 소식 보도자료 동영상 소셜미디어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첫 ESG 리포트 발간

2021.08.31
  • 공유 url복사
  • 공유 페이스북
  • 공유 트위터
  • 공유 지메일

■ RE100전환,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 등 ESG 성과 및 비전 담아
 
■ 리포트 제작도 ESG, 재생용지와 콩기름 잉크 사용해 ESG 의지 전달
 
■ CEO 김종현 사장,
"올해 ESG 원년으로 삼고, 시장과 고객 기대를 넘어서는 ESG 경쟁력 만들어 갈 것"

 
 
LG에너지솔루션이 출범 후 첫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리포트를 발간했다.
 
이번 ESG 리포트에는 친환경 에너지 선도기업으로서 RE100 전환, 책임 있는 공급망 관리 등 그 동안의 ESG 성과와 비전을 담았다.
 
특히, 리포트 제작부터 ESG 경영에 대한 의지를 담기 위해 재생 용지와 콩기름 잉크를 사용했고, 표지는 화려한 색상 사용을 최소화 해 친환경 이미지로 구현한 게 특징이다.
 
총 114페이지로 구성된 ESG 리포트는 ▲경영진의 인사말 및 ESG 활동 소개 ▲ESG 비전, 8대 중점 영역과 4대 Enabler*(ESG 중점 영역을 추진하기 위한 기반) ▲이사회 구성, R&D 투자, 정보보안, 정도경영, Risk Management 등의 활동 내용을 담았다.
 
무엇보다 LG에너지솔루션은 공시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와 글로벌 기준을 반영했다.
 
지속가능경영 보고 기준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 Standards 외에도, VRF SASB* Standards, TCFD* 등 글로벌 ESG정보 공개 가이드라인을 확대 반영했고, UN SDGs* 지표와 연결한 이행 내용도 기재했다. 또, 국제 검증 표준(AA1000AS v3)에 따라 제3자 독립검증기관의 검증을 통해 객관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LG에너지솔루션 김종현 사장은 발간사를 통해 "급변하는 글로벌 경영환경 속에서 '가치 있는 기업'으로 영속하기 위해 ESG경영을 추진하고자 한다"라며 "올해를 LG에너지솔루션의 ESG 원년으로 삼고, 시장과 고객의 기대를 넘어서는 ESG 경쟁력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최근 글로벌 배터리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서 지속 가능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겠다는 의지를 담아 'We CHARGE toward a better future'의 ESG비전과 ▲2050년 탄소 중립 ▲2030년 전세계 사업장 'RE100' 전환 ▲ 2025년 '자원 선순환 고리' 구축 등을 실현하기 위한 7대 핵심과제를 발표한 바 있다.
 
E·S·G 부문별 경영 성과와 구체적인 비전 내용
 
E(Environmental, 환경): 환경을 위한 주요 성과로 먼저 LG에너지솔루션은 친환경 에너지 선도기업으로서 2030년 RE100 전환을 달성할 계획이다. 이는 국제 RE100 캠페인 목표보다 20년 앞선 것이다.
 
이에 LG에너지솔루션은 2021년 글로벌 배터리 업계 최초로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 EV100(Electricity vehicle 100)에 동시에 가입해 에너지 효율화 및 절감 등 기후변화 대응 활동을 추진 중이다. 2020년 기준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외 전력 사용량의 30% 이상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한 바 있다.
 
또한, 폴란드와 미국 사업장에 대해서는 녹색요금제와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 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 구매를 통해 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완료했고, 국내 및 중국 사업장도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한국의 오창 사업장은 1.2MW 규모의 태양광 설비를 운영 중에 있다.
 
배터리 수요가 늘며 사용 후 배터리 처리 이슈에 대응해, LG에너지솔루션은 2025년까지 전세계 모든 사업장에 원재료/생산/소비/폐기에 이르는 자원 선순환 고리(Closed Loop) 체계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고객에게 친환경 배터리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화학물질 구매, 입고부터 사용, 출고, 폐기까지 전 과정의 환경 안전 사고예방 및 법규 준수 목적의 화학물질 관리 시스템(CHARMS, Chemical Assurance and Regulation Management System)도 운영하고 있다. 배터리 자재는 2022년, 제품은 2023년까지 친환경성을 100% 확보할 예정이다.
 
S(Social, 사회): 사회를 위한 지속가능경영의 성과로 LG에너지솔루션은 Responsible Sourcing(책임 있는 원재료 구매) 정책을 수립해 공급망 관리에 나섰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협력회사가 준수해야 하는 행동규범(Code of Conduct for Suppliers)을 2016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이는 인권·노동·윤리경영·건강·안전·환경·지속가능성·책임 있는 광물 구매 등 협력회사가 반드시 준수하는 규정으로, 준수 여부에 대해 매년 평가를 진행하고, 현장 실사로 이행 결과도 철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
 
더불어,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핵심 원료 중 하나인 코발트 공급망의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분산형 데이터 저장으로 임의 조작과 해킹이 어려운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을 적용하고 있다. 2020년 원재료 입고 및 생산 출하 공정별 Data를 블록체인 플랫폼에 자동 연동하는 체계를 구축했다.
 
G(corporate Governance, 지배구조): 무엇보다 LG에너지솔루션은 ESG경영전략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6월 15일 ESG경영 관련 최고 심의 기구인 ESG위원회를 구성하기도 했다. ESG위원회는 기본정책 및 전략 수립, 운용에 대한 심의 의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여성 ESG위원회 위원장을 선임하며 주목을 받았다. 선임된 신미남 ESG위원회 위원장은 환영 인사에서 "ESG위원회는 LG에너지솔루션이 시대적 요구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추진할 ESG과제가 빠짐없이 이행되는지, 전략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되는 지 모니터링 할 것이며, 적기에 실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용어 설명
 
* VRF SASB (Value Reporting Foundation 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 미국 지속가능회계기준위원회
* TCFD (Task Force on Climate related Financial Disclosure) : 기후변화 재무정보공개 전담 협의체 권고안
* UN SDGs : 국제연합 지속가능발전목표

  • 이전글LG생활건강, 미국 ㈜Boinca 인수
  • 다음글LG유플러스, 통신요금 잘 내면 대학생·사회초년생 고객도 가전렌탈 쓴다
목록
  • 유튜브
  • 페이스북
  • 네이버 포스트
  • 인스타그램
  • LG 소셜미디어 맵

사이트맵 고객문의

Copyright ⓒ 2022 LG Communication Center, HSAD. All Rights Reserved.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EB ACCESSIBILITY 마크(웹 접근성 품질인증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