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텐츠로 바로가기

LG

영문ENG
선택됨계열사선택됨재단선택됨관련 사이트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LG헬로비전 HSAD LG CNS D&O LG경영연구원 LG트윈스 LG세이커스 LG공익재단 LG상남언론재단 LG아트센터 LG상남도서관 LG사이언스홀 화담숲 LG연암학원
정도경영 LG커리어스
영문ENG

LG 소개
LG Way CI 역사 주요 계열사 LG사이언스파크
미디어
ESG 소식 보도자료 동영상 소셜미디어
ESG
전략 목표와 성과 활동 정책 보고서
IR
기업지배구조 재무정보 공시정보 IR정보 Contact IR
채용
LG 소개
LG Way CI 역사 주요 계열사 LG사이언스파크
미디어
ESG 소식 보도자료 동영상 소셜미디어
ESG
전략 목표와 성과 활동 정책 보고서
IR
기업지배구조 재무정보 공시정보 IR정보 Contact IR
채용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19년 2분기 실적발표

2019.08.09
  • 공유 url복사
  • 공유 페이스북
  • 공유 트위터
  • 공유 지메일

■ 영업수익 2조3,780억원,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 영업이익은 1,486억원 기록해 29.6% 감소
 
■ IPTV, 초고속인터넷 등 스마트홈 사업이 실적 견인. 무선은 2분기 연속 수익 증가 및 8분기만에 ARPU 증가세로 전환
 
■ 프리미엄 서비스 및 콘텐츠로 5G 시장의 차별화된 성장 주도, 기업가치와 주주가치 제고해 나갈 것

 
 
LG유플러스(부회장 하현회/ www.uplus.co.kr)는 2019년 2분기 총 수익(매출) 3조1,996억원, 영업수익 2조3,780억원, 영업이익 1,486억원의 경영성과를 거뒀다고 9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총 수익(매출)은 7.3%, 영업수익은 1.5%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29.6% 감소했다.
 
영업수익 중 무선수익은 전년 동기(1조3,413억원) 대비 2.4% 증가한 1조3,741억원를 기록했다. 2분기 총 순증 가입자가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한 29만6천명를 기록하는 등 가입자 성장에 힘입은 것으로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수익 성장세를 이어갔다. 6월말 기준 시장 점유율 29%에 달하는 38만7천명의 5G 가입자 확보도 일익을 담당했다. 특히 ARPU는 올해 1분기 31,051원에서 31,164원으로 전분기에 비해 0.4% 높아져 '17년 2분기 이후 8분기만에 성장세로 돌아섰다.
 
무선가입자 성장은 ▲세계 최초 일반고객 대상 5G 상용화를 통한 브랜드 이미지 고양, ▲U+AR, U+VR 등 U+5G만의 차별화된 콘텐츠 효과와 U+게임Live(게임 방송) 등 신규 서비스 출시, ▲강남역, 스타필드 등 유동인구 밀집지역에 대규모 체험존 운영 등을 통한 5G 조기 활성화, ▲최적의 셀 설계와 기지국 구축, EN-DC 등 신기술 적용으로 속도 및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 등에 따른 것이다.
 
유선수익*은 스마트홈 부문의 수익 지속 증가 영향으로 9,969억원을 달성, 전년 동기(9,820억원)와 비교해 1.5% 상승했다.
*유선수익=스마트홈수익+기업수익, 스마트홈 수익(IPTV/초고속인터넷/인터넷전화), 기업 수익(전자결제, 기업메시징 등의 e-Biz/IDC/전용회선/전화)을 합산한 수익
 
스마트홈 수익은 전년 동기(4,446억원) 대비 13.7%가 증가한 5,05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IPTV와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증가에 따른 것으로, 두 자리 수 성장세를 이어갔다. IPTV 가입자는 전년 동기(379만명)보다 11.9% 증가한 424만1천명을 기록했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역시 417만명을 기록해 전년 동기(394만6천명) 대비 5.7%가 증가했다.
 
U+tv 아이들나라, U+tv 브라보라이프 등 IPTV 특화서비스 인기와 함께 넷플릭스 콘텐츠 독점 제공에 따른 영향이 계속된 것이 스마트홈 사업 성과를 견인했다.
 
기업 수익은 전년 동기(5,374억원) 대비 8.6% 감소한 4,912억원을 기록했다. e-Biz와 전화사업 등이 부진했으나 IDC 사업의 수익 성장으로 매출 감소를 최소화했다.
 
지난 2분기 영업이익은 마케팅비용과 5G 투자에 대한 감가상각비 등의 영향으로 1,486억원을 기록했다. 마케팅비용은 5,648억원을 집행, 전년 동기(5,080억원) 대비 11.2% 증가했고, 이는 개인 고객 대상 5G서비스 시작으로 광고선전비와 5G 단말의 판매 규모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CAPEX 역시 5G 네트워크 투자가 본격화됨에 따라 작년 동기(2,598억원) 대비 181%가 증가한 7,300억원을 기록했다.
 
LG유플러스는 하반기에도 5G 시장을 선도해 무선 성장을 이어나가고 스마트홈 부문의 수익 성장세도 지속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무선 서비스는 업계 최초로 청소년 및 시니어 층에 최적화된 4만원대의 세대별 요금제를 출시한데 이어 U+5G 서비스와 콘텐츠를 강화해 가입자를 확보할 계획이다. U+프로야구에 AR입체중계 서비스를 도입하고, 국내외 1등 사업자와의 제휴를 바탕으로 젊은 층의 관심이 높은 클라우드 게임과 클라우드 VR 서비스도 시작한다. 85개시 동지역까지 옥외 5G 기지국 구축은 물론 인빌딩, 지하철, KTX 등에서도 5G 이용이 가능하도록 커버리지 확대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스마트홈 서비스는 넷플릭스 콘텐츠 확대와 U+tv 아이들나라 3.0 등 서비스 경쟁력을 기반으로 성장을 지속할 계획이다. IoT 역시 개방형 AI 플랫폼, 구글 어시스턴트 연동 확대로 고객 서비스 편의성과 범용성을 높여나간다.
 
기업 서비스는 스마트스테이션, 자율주행 등 교통사업 분야와 스마트 팩토리, 산업 IoT 등의 분야에서 5G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화하고 차세대 성장동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LG유플러스 CFO(최고재무책임자) 이혁주 부사장은 "2분기에는 U+5G 서비스의 경쟁우위와 네트워크 인프라의 일등품질 확보를 위해 역량을 집중해 5:3:2라는 모바일 시장의 고착화된 점유율 구조의 변화를 시작했다"며 "하반기에는 단말 라인업 확대, LG유플러스만의 네트워크 운영기술과 솔루션, 글로벌 최고 기업과의 제휴를 바탕으로 프리미엄 서비스 및 콘텐츠를 선보여 서비스 중심으로 5G 시장의 차별화된 성장을 주도하고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제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연결 요약 손익 계산서>

(단위: 십억원)

 

2Q ’18

1Q ’19

2Q ’19

YoY

QoQ

 

수익

2,980.7

3,020.4

3,199.6

7.3%

5.9%

영업수익

2,343.2

2,314.3

2,378.0

1.5%

2.8%

단말수익

637.6

706.0

821.6

28.9%

16.4%

비용

2,769.7

2,825.7

3,051.1

10.2%

8.0%

영업이익

211.1

194.6

148.6

-29.6%

-23.7%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189.0

175.6

132.3

-30.0%

-24.7%

당기순이익

137.1

132.6

98.5

-28.1%

-25.7%

EBITDA

626.3

689.9

651.1

4.0%

-5.6%

CAPEX

259.8

276.8

730.0

181.0%

163.7%

마케팅비용

508.0

512.2

564.8

11.2%

10.3%

EBITDA: 영업이익 + 유/무형자산 상각비

  • 이전글LG트윈스, 피규어 패키지석 완판, '채은성 피규어 패키지석' 2차 판매
  • 다음글LG유플러스, 8월 '주말의 특권' 프로모션 운영
목록
  • 유튜브
  • 페이스북
  • 네이버 포스트
  • 인스타그램
  • LG 소셜미디어 맵

사이트맵 고객문의

Copyright ⓒ 2022 LG Communication Center, HSAD. All Rights Reserved.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EB ACCESSIBILITY 마크(웹 접근성 품질인증 마크)